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제도
확대보기

정비사업 분쟁 예방 솔루션 ③ 코디네이터 제도
서울특별시
정비사업 갈등과 분쟁을 조정·컨설팅하는 전문가
자치구가 신청하고 서울시가 파견하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제도
1/7
확대보기

정비사업 분쟁 예방 솔루션 ③ 코디네이터 제도
서울특별시
"꼭 필요한 정비사업! 그렇지만 추진하고 진행하기 너무 어려워요."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워요."
"전문 지식이 부족해요."
"이해관계자의 입장이 서로 달라요."
"조정과 중재가 필요해요."
"관련 법령이 미비해 합의 기준이 모호해요."
"……"
"……"
"전문 지식이 부족해요."
"이해관계자의 입장이 서로 달라요."
"조정과 중재가 필요해요."
"관련 법령이 미비해 합의 기준이 모호해요."
"……"
"……"
갈등·분쟁이 발생하거나 사업이 지연될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2/7
확대보기

정비사업 분쟁 예방 솔루션 ③ 코디네이터 제도
서울특별시
경험가 지식이 풍부한 코디네이터가 문제 해결을 도와드립니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제도는 정비사업이 정체되거나 갈등이 발생하거나 전문성이 부족해 컨설팅이 필요한 경우 서울시가 갈등과 문제의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조정·컨설팅할 수 있는 전문가를 현장에 파견하는 제도입니다.
- 파견 대상지: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구역, 서울시 주요 정책 사업지
- 파견 시기: 정비사업 시행 과정 전반에 걸쳐 지원 (정비구역 지정·고시일부터 조합 설립과 운영, 관리처분계획 수립과 시공에 이르기까지)
- 파견 절차: 자치구의 신청을 받아 서울시가 검토 후 현장에 파견
3/7
확대보기

정비사업 분쟁 예방 솔루션 ③ 코디네이터 제도
서울특별시
Q. 코디네이터 제도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나요?
2015년부터 행정방침으로 운영해온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총 166명(2023년 1월 기준)이 활동하며 원활한 정비사업 추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Q. 어떤 전문 분야의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도시계획·건축, 도시행정, 도시정비, 법률, 세무회계, 감정평가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도시계획·건축
- 도시행정
- 도시정비
- 법률
- 세무회계
- 감정평가
4/7
확대보기

정비사업 분쟁 예방 솔루션 ③ 코디네이터 제도
서울특별시
Q. 코디네이터는 어떤 활동을 주로 하나요?
정비사업 구역전담제 운영
후보지 선정부터 사업 완료 시까지 원활한 정비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 모니터링, 사업 컨설팅, 주민·전문가 간 소통을 구역별 전담 코디네이터가 지원합니다.찾아가는 현장 상담소 운영
후보지 공모부터 사업 완료 시까지 사업 절차 안내, 사업(재개발·재건축·모아주택·가로주택정비사업) 간 비교, 법률 상담 등을 분야별 전문 코디네이터가 제공합니다.조정 및 중재
정비구역 지정 이후 자치구 및 유관부서 요청 시 주요 갈등과 정체 요인 관련 협의체를 운영하고 중재안을 제시합니다.
5/7
확대보기

정비사업 분쟁 예방 솔루션 ③ 코디네이터 제도
서울특별시
Q.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파견은 어떤 효과가 있나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가 아닌 정비사업 전문 코디네이터가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갈등·사업 정체 등 문제의 요인을 분석하고 협의체를 운영해 합리적인 중재안을 제시하기 때문에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
- 현장 모니터링
- 쟁점 현안 분석
- 합리적인 중재안 제시
Q.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파견은 어떻게 신청할 수 있나요?
조정 및 중재, 상담이 필요한 경우 주민이 자치구로 민원 사항 등을 접수하면 됩니다. 자치구가 적정성을 검토해 타당하면 서울시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파견을 요청합니다.
6/7
확대보기

정비사업 분쟁 예방 솔루션 ③ 코디네이터 제도
서울특별시
복잡하고 까다로운 정비사업, 전문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와 함께해요.
세무회계, 도시정비, 도시계획·건축, 법률, 도시행정, 검정평가라고 적힌 글자 가운데 사람이 펜과 태블릿을 들고 있는 모습의 그림
큐알코드 이미지
이 밖에도 분쟁 예방·갈등 중재를 위한 다양한 정비사업 공공지원제도를 확인하세요.
7/7